돈 정보

2018년 연봉 실수령액 확인하기

ktko 2018. 8. 6. 17:30


2018년 연봉 실수령액




점점 물가는 올라가는데 연봉은 안오르고 정작 내 연봉에 실제로 수령하는 금액은 얼마인지 궁금합니다.
그래서 2010년 연봉 실수령액이 얼마인지 포스팅해봅니다.!



아래 표에는 1000만원부터 1억까지의 2018년 연봉 실수령액을 보여주는 차트를 첨부하였습니다.
아래 차트를 보시면 연봉이 올라감에 따라 실수령액의 %가 낮아짐을 알 수 있습니다. 그만큼 돈을 많이 벌면 세금을 많이 낸다는 뜻이겠죠.
연봉이 같아도 실수령액이 다를 경우가 있습니다. 왜 그럴까요 ? 차트 아래를 보세요.


2018년 연봉 실수령액

2018년 연봉 실수령액



연봉이 같아도 실수령액이 다른 이유



실수령액이 다른 이유는 개개인마다 다를 수 있는데 크게 2가지 이유로 볼 수 있습니다.


  • 원천징수 비율이 다를 경우


원천징수비율은 80%, 100%, 120%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. 소득세가 10만원이면 소득세로 8만원, 10만원, 12만원을 낼 것인지 고를 수 있습니다. 보통은 회사에서 결정을 해버립니다.

80%를 선택하면 당장은 세액이 줄지만 연말정산 때 돌려받을 금액이 적어집니다. 120%는 많이 내지만 연말정산 때 돌려받을 금액이 많아지는 것입니다. 비율을 바꾸어 버리면 상황에 따라 바꾼 비율로 소득세를 내야 하니 신중하게 골라야 합니다.


  • 가족 수가 다른 경우


근로소득간이세액표를 살펴보면 부양하는 가족 수에 따라 소득세가 바뀝니다.

월급이 291만에서 292만인 경우 본인 외에 부양가족이 없으면 소득세는 76,720이 됩니다. 2명인 경우에는 59,220, 10명일 경우에는 1,590원입니다.

가족 수가 많으면 소득세가 줄어듬을 알 수 있습니다.


근로소득간이세액표






이것으로 2018년 연봉 실수령액을 확인해 보았습니다.

연봉 1억이면 상위 3%, 7000만원이면 상위 9%라고하는데 

제 주변에는 상위 9%가 참 많은 것 같아 씁슬합니다.

제 주변에 상위 9%들은 더 받아야 된다고 하는데 최저시급이 올랐으니 그냥 알바나해야하나..

갑자기 우울해집니다. 

보시는 분들은 2018년 연봉 실수령액 표에서 제 연봉보다 아래 쪽을 보시길 바랍니다.